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클래스 추가하기 #특정 url 클래스 추가 #사이트 접속시 클래스 추가 #오공완 #javascript
- 리액트
- map()에는 key값이 필요
- 오공완
- 오공완 #리액트 공부 #React
- React
- 리스트랜더링
- Today
- Total
new_bird-hyun
React에서 Suspense와 Error Boundary로 안정적인 비동기 처리 본문
// ErrorBoundary.js
import React, { Component } from 'react';
export default class ErrorBoundary extends Component {
constructor(props) {
super(props);
this.state = { hasError: false };
}
static getDerivedStateFromError(error) {
return { hasError: true };
}
componentDidCatch(error, errorInfo) {
console.error('ErrorBoundary caught an error:', error, errorInfo);
}
render() {
if (this.state.hasError) {
return <h1>문제가 발생했습니다. 다시 시도해주세요.</h1>;
}
return this.props.children;
}
}
// SuspenseExample.js
import React, { Suspense } from 'react';
const fetchData = () =>
new Promise((resolve) =>
setTimeout(() => resolve('비동기 데이터 로드 완료!'), 2000)
);
const AsyncComponent = React.lazy(() =>
fetchData().then((data) => ({
default: () => <p>{data}</p>,
}))
);
export default function SuspenseExample() {
return (
<div>
<h1>React Suspense 예제</h1>
<ErrorBoundary>
<Suspense fallback={<p>Loading...</p>}>
<AsyncComponent />
</Suspense>
</ErrorBoundary>
</div>
);
}
'코딩 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에서 대규모 데이터 처리와 가상화(Virtualization) (0) | 2025.01.07 |
---|---|
React의 useTransition과 useDeferredValue로 렌더링 최적화 (0) | 2025.01.06 |
React에서 동적 폼 필드 관리 (0) | 2025.01.03 |
React에서 React Hook Form과 Context API로 전역 폼 상태 관리 (2) | 2025.01.02 |
React.memo와 React Profiler로 성능 분석 및 최적화 (0) | 2025.01.01 |